[JS]배열 관련 함수

2024. 11. 25. 23:46·Language/JavaScript

콘솔창 읽는 법

JavaScript의 콘솔은 함수 실행 결과와 반환값을 각각 출력한다. 따라서, 함수가 값을 출력하더라도 반환값이 없는 경우 undefined가 함께 표시된다.

let arr = ["🍪", "🍰", "🍫"];
console.log(arr.length);
//3: arr.length 값(배열의 길이)을 console.log()가 출력한 값
//undefined: console.log() 함수 자체의 반환값 (반환값이 없으므로 undefined)

length

설명: 배열의 길이를 반환한다. 배열의 크기를 동적으로 조절할 수도 있다.
리턴값: 배열의 요소 개수

let arr = ["🍪","🍰","🍫"];
console.log(arr.length); 

//배열 길이 변경
arr.length = 5;
console.log(arr);

push

설명: 배열의 끝에 하나 이상의 요소를 추가한다.
리턴값: 배열의 새로운 길이

let arr = ["🍪","🍰","🍫"];
arr.push("🍩","🥞");
console.log(arr);

unshift

설명: 배열의 시작에 하나 이상의 요소를 추가한다.
리턴값: 배열의 새로운 길이

let arr = ["🍪","🍰","🍫"];
arr.unshift("🍩","🥞");
console.log(arr);

splice

설명: 배열의 기존 요소를 삭제하거나 교체하거나 새로운 요소를 추가한다.
리턴값: 삭제된 요소들로 구성된 배열

let arr = ["🍪","🍰","🍫","🍩"];
let removed = arr.splice(1, 2,"🥞","🥪"); 
//1번 인덱스부터 2개의 요소를 삭제하고 "🥞","🥪" 추가
console.log(arr);   
console.log(removed);

concat

설명: 기존 배열에 새로운 배열 또는 값들을 추가한 새 배열을 반환한다.
리턴값: 결합된 새로운 배열

let arr1 = ["🍪","🍰",];
let arr2 = ["🍫","🍩"];
let combined = arr1.concat(arr2);
console.log(combined);
console.log(arr1);

shift

설명: 배열의 첫 번째 요소를 제거한다.
리턴값: 제거된 요소

let arr = ["🍪","🍰","🍫"];
let first = arr.shift();
console.log(arr);   
console.log(first);

pop

설명: 배열의 마지막 요소를 제거한다.
리턴값: 제거된 요소

let arr = ["🍪","🍰","🍫"];
let last = arr.pop();
console.log(arr);  
console.log(last);

sort

설명: 배열의 요소를 문자열 기준으로 정렬한다. 숫자를 정렬하려면 콜백 함수를 제공해야 한다.
리턴값: 정렬된 배열 (원본 배열이 변경됨)

let arr = ['d','e','a','c','b'];
arr.sort();
console.log(arr); //['a','b','c','d','e']

// 숫자 정렬
let arr2= [3, 1, 4, 1, 5];
arr2.sort();
console.log(arr2); //[1, 1, 3, 4, 5] (기본적으로 문자열로 정렬)
//콜백 함수
arr2.sort((a, b) => a - b);
console.log(arr2); //[1, 1, 3, 4, 5]

reverse

설명: 배열의 요소 순서를 반대로 뒤집는다.
리턴값: 뒤집힌 배열 (원본 배열이 변경됨)

let arr = ["🍪","🍰","🍫"];
arr.reverse();
console.log(arr);

'Language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JS]템플릿 리터럴(Template Literal)  (1) 2024.12.24
[JS]객체(Object) 정의, 호출  (0) 2024.12.24
[JS]함수의 다양한 정의 방법  (0) 2024.11.25
[JS]prompt, console.log, alert, document.write  (1) 2024.11.10
[JS]true==2는 false지만, if(2) {}는 실행되는 이유  (0) 2024.11.09
'Language/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[JS]템플릿 리터럴(Template Literal)
  • [JS]객체(Object) 정의, 호출
  • [JS]함수의 다양한 정의 방법
  • [JS]prompt, console.log, alert, document.write
yxxjxxeee
yxxjxxeee
  • yxxjxxeee
    공부 일지
    yxxjxxeee
  • 전체
    오늘
    어제
    • study N
      • Framework
        • Spring
      • Language
        • JavaScript
        • C | C++
        • JAVA
        • PHP
      • CS
        • 네트워크
        • 자료구조
        • 데이터베이스
        • 운영체제
      • DBMS
        • MySQL
      • 코딩테스트 N
        • 백준 N
        • 프로그래머스
        • LeetCode
  • 블로그 메뉴

    • 홈
    • 태그
    • 방명록
  • 링크

    • 쇼핑몰 제작 프로젝트(PHP)
    • github
  • 공지사항

  • 인기 글

  • 최근 글

  • hELLO Designed By 정상우
    Version v4.10.2
yxxjxxeee
[JS]배열 관련 함수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