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hmod 명령어란
chmod(change mode)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리눅스 명령어다.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과 디렉토리의 접근 권한을 설정하고, 누가 파일을 읽거나 쓸 수 있는지 또는 실행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.
권한 숫자의 계산 방법
리눅스에서는 파일의 권한을 3자리 숫자로 표현하며, 각 자리는 3개의 권한(읽기, 쓰기, 실행)을 더한 값이다. 각 권한의 값은 다음과 같다.
권한 | 기호 | 숫자 |
읽기 | r | 4 |
쓰기 | w | 2 |
실행 | x | 1 |
chmod 777의 의미
chmod 777은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모든 사용자(소유자, 그룹, 기타 사용자)가 읽기(r), 쓰기(w), 실행(x) 권한을 가지도록 설정하는 명령어다.
소유자(owner) 권한: 4(읽기) + 2(쓰기) + 1(실행) = 7(rwx)
그룹(group) 권한: 4(읽기) + 2(쓰기) + 1(실행) = 7(rwx)
기타 사용자(others) 권한: 4(읽기) + 2(쓰기) + 1(실행) = 7(rwx)
chmod 777의 위험성과 대안
모든 사용자에게 쓰기(w) 권한을 부여하면 보안에 취약해질 수 있고 악의적인 사용자가 파일을 수정하거나 악성 코드를 실행할 위험이 있다. 특히 웹 서버의 777 설정은 해킹의 원인이 될 수 있다. 따라서 웹 서버 디렉토리의 경우 chmod 755 또는 chmod 750을 권장하고 파일의 경우 chmod 644(읽기, 쓰기 제한) 적용하는게 안전하다.
'CS > 운영체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OS]우선순위 (0) | 2025.04.14 |
---|---|
[OS]스케줄링 (0) | 2025.04.14 |
[OS]멀티 스레드 모델 (0) | 2025.03.24 |
[OS]멀티 태스크, 멀티 스레드, 멀티 프로세싱 (0) | 2025.03.24 |
[OS]스레드(thread) (0) | 2025.03.24 |